본문 바로가기
교육/서양 철학 언플러그드: 개념 파괴

흄의 회의(Skepticism)

by 지렛대 2023. 10. 6.
728x90
반응형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1776)은 스코틀랜드의 철학자이자 계몽주의 시대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의 철학적 사고는 인식론, 형이상학, 윤리학, 종교철학 등 광범위한 주제에 걸쳐 있었습니다. 회의주의로 직결되는 흄의 철학적 사고는 전체 철학 체계의 중심부를 점하고 있으며, 철학사에 깊은 발자취를 남겼습니다. 그의 회의주의는 현대 철학 논쟁에서도 여전히 그의 이름을 소환하도록 이끄는 원동력입니다.

 

David Hume (1711-1776)


 

회의주의

흄은 존 로크(John Locke)와 조지 버클리(George Berkeley)의 전통을 따르는 경험주의자였습니다. 그는 모든 지식은 감각적 경험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우리의 모든 지식은 경험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우리의 모든 인식은 경험에서 파생된다”는 유명한 선언을 남겼습니다.

흄의 이러한 경험주의는 전통적인 형이상학을 부정하는 결과로 이끌었습니다. 그는 인과관계, 실체, 필연적 연관성 등의 개념에 도전하면서, 그것들은 경험적 증거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습관과 관습의 산물일 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 인과관계에 대한 회의론: 흄의 회의론은 인과관계 개념으로 확장되었습니다. 그는 원인과 결과 사이에 필연적인 연관성이 있다는 생각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흄에 따르면, 우리는 연속되는 사건들을 관찰하지만(일정한 결합), 한 사건이 다른 사건을 야기한다고 결론을 내릴 필연적 이유가 없습니다. 인과관계에 대한 흄의 회의론은 전통적인 형이상학과 필연적 관계 개념에 도전했습니다. 그의 사상은 과학철학 논의에 박차를 가해 인과관계와 경험론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귀납 문제: 흄은 귀납적 추론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귀납의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귀납적 추론에는 특정 관찰로부터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흄은 귀납적 추론은 미래가 과거와 유사할 것이라는 가정에 의존하기 때문에 합리적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흄의 귀납 문제는 경험적 지식과 과학적 추론의 기초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했습니다. 이는 계속해서 과학철학과 인식론의 핵심 쟁점이 되고 있습니다.
  • 자아 다발 이론: 흄의 회의론은 자아의 정체성까지 확장되었습니다. 그는 자아가 통일되고 지속적인 실체가 아니라 관념의 묶음 또는 집합임을 시사하는 ‘다발 이론’을 제안했습니다. 그는 자신을 성찰했을 때 일련의 관념만 찾을 수 있었고 근본적인 자아는 찾을 수 없었다는 유명한 말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흄의 자아 다발 이론은 정체성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에 도전하고 정신 철학과 개인 정체성에 대한 논의의 발전에도 기여했습니다.
  • 기적에 대한 회의론: 에세이 <기적에 대하여>에서 흄은 기적을 믿는 합리성에 반대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기적은 자연법칙을 위반하는 것이기 때문에 믿을 수 있으려면 극도로 강력한 증거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기적에 대한 증거는 대개 증언이고, 인간의 증언은 오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기적에 대한 믿음에는 충분한 뒷받침이 부족하다고 결론지은 것입니다.

 


 

사상적 영향

인과관계와 귀납법에 대한 흄의 회의론은 전통적인 형이상학적, 인식론적 가정에 도전했습니다. 그의 사상은 과학철학, 인식론, 정신철학의 발전을 가져오는 철학적 토론을 자극했습니다. 흄의 귀납 문제는 현대 과학철학의 중심 쟁점이 되고 있으며, 과학적 방법, 확증, 과학적 추론의 본질에 관한 논쟁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흄의 자아 다발 이론은 개인 정체성에 대한 논의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의 본질, 시간에 따른 정체성, 의식의 역할에 대한 동시대의 논쟁에 기여했습니다.

흄의 경험주의는 윤리학의 공리주의와 심리학 및 인지과학에 대한 경험주의적 접근을 포함하여 철학의 경험주의 전통 발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회의론으로 특징지어지는 흄의 철학적 사고는 전통적인 믿음에 도전하고 철학의 중요한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인과관계, 귀납법, 개인의 정체성, 기적, 경험적 지식에 대한 그의 회의주의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현대 철학적 논쟁과 탐구에 동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교육 > 서양 철학 언플러그드: 개념 파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담의 물질적 행복  (0) 2023.10.08
밀의 정신적 행복  (0) 2023.10.08
버클리의 절대 지각  (1) 2023.10.06
로크의 의식 동일성  (0) 2023.10.06
러셀의 논리 원자  (0) 2023.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