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서양 철학 언플러그드: 개념 파괴

버클리의 절대 지각

by 지렛대 2023. 10. 6.
728x90
반응형

조지 버클리(George Berkeley, 1685-1753)는 아일랜드 철학자이자 근대 초기 철학의 저명한 인물이었습니다. 그의 철학적 사상은 주관적 관념론 또는 비물질주의로 알려진 관념론 형태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버클리의 철학은 그 시대의 지배적인 견해, 특히 존 로크(John Locke)와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 등과 같은 철학자들의 물질주의와 회의주의에 도전한 결과입니다. 특히 그의 절대 지각 개념은 관념론의 중심이며 철학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절대 지각에 대한 버클리의 생각과 그것이 후대에 미친 사상적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George Berkeley, 1685-1753


 

버클리의 절대 지각

 

  • 비물질주의와 관념론: 버클리는 물질주의를 거부하고 관념론을 발전시킨 것으로 유명합니다. 버클리의 중심 논제는 현실이 근본적으로 지각과 정신적 경험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는 "Esse est percipi"(존재하는 것은 지각되는 것이다)라는 유명한 명제를 남겼습니다. 즉, 사물의 존재는 그것이 마음에 의해 지각되는가에 달려 있다는 것입니다. 역으로 무언가가 지각되지 않으면 존재할 수 없게 됩니다. 이렇게 버클리는 물질적 존재의 실체를 거부했습니다. 물질적 실체에 대한 생각은 일관되지 않으며, 우리가 지각하는 모든 것은 색상, 모양, 질감과 같은 개별적인 특성이나 감각일 뿐이라는 것입니다.
  • 지각과 현실: 버클리의 철학은 현실이 근본적으로 지각으로 구성된다는 생각에 담겨있습니다. 그는 모든 것이 편재하고 신성한 지각자(그가 신으로 인정함)의 마음속에 존재한다는 생각을 전달하기 위해 ‘절대 지각’이라는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이 견해에 따르면 모든 것은 신을 통해 지각되며, 그 존재는 이 신성한 마음에 의해 지각되는 것에 달려 있습니다.
  • 신성한 자양분: 버클리는 신이 세상의 모든 것을 지속적으로 지각하며, 이 신성한 지각이 사물과 현상의 존재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즉, 사물은 신이 지각하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어떤 것을 지각할 때, 본질적으로 우리는 그 사물에 대한 신의 지각을 공유하는 것입니다.
  • 인간의 지각: 버클리의 철학은 인간의 지각에도 적용됩니다. 그는 인간이 사물을 지각할 때 그 사물의 물질적 실체를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관념을 지각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생각은 하나님의 지각에 의해 직접적으로 발생하며 세상에 대한 우리 경험의 기초입니다.

 


 

후대에 미친 사상적 영향

 

절대 지각 개념을 포함한 조지 버클리의 철학은 다음 세대의 철학자와 다양한 철학 분야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관념론: 정신적 존재의 우선성과 지각에 대한 현실 의존성을 강조하는 버클리의 관념론은 이후의 관념론 철학의 사상적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특히 임마누엘 칸트는 버클리의 사상에 일부 공감하여 독특한 초월적 관념론을 발전시켰습니다.
  • 지각 철학: 지각에 대한 버클리의 견해는 지각 철학에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감각 경험의 본질과 지각에 있어서 관념의 역할에 대한 그의 주장은 후기 철학자들에 의해 재검토되고 다듬어졌습니다.
  • 유물론 비판: 버클리의 유물론 비판과 물질적 실체에 대한 정신적 현실의 우위성은 형이상학과 과학철학의 토론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신학적 함의: 버클리의 철학은 궁극적인 지각자인 신의 개념에 의존하기 때문에 신학적 함의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각과 현실의 유지에 있어서 신의 역할에 대한 그의 견해는 종교적, 신학적 맥락에서 논의되어 왔습니다.

 

버클리의 절대 지각 개념은 관념론 철학의 중심 요소이며, 널리 퍼져 있는 유물론적 관점에 도전하고 현실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마음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관념론의 발전, 지각과 정신에 관한 철학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 현실과 지각의 본질에 대한 사상의 광범위한 영향에서 그의 철학적 함의가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728x90
반응형

'교육 > 서양 철학 언플러그드: 개념 파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의 정신적 행복  (0) 2023.10.08
흄의 회의(Skepticism)  (1) 2023.10.06
로크의 의식 동일성  (0) 2023.10.06
러셀의 논리 원자  (0) 2023.10.06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0) 2023.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