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교육/서양 철학 언플러그드: 개념 파괴39 바디우의 사건 알랭 바디우(Alain Badiou 1937- )는 현대 철학, 특히 존재론, 수학, 정치 및 윤리 분야에서 공헌한 것으로 알려진 프랑스 철학자입니다. 그의 작품은 엄격한 사고와 보편적 진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사건’은 그의 철학 체계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혼란과 변화의 순간을 나타냅니다. 예외적 발생으로서의 사건 바디우의 철학에서 사건은 일상적인 삶과 사고를 방해하는 비범하고 예외적인 발생입니다. 이러한 사건은 매일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 강렬한 변화와 잠재력의 순간입니다. 보편성과 진실: 바디우는 사건을 보편적 진리의 원천으로 봅니다. 사건은 현실에 대한 이해를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심오하고 지속적인 진실을 드러냅니다. 사건과 관련된 진실은 우연적이거나 상대적인 것이 아닙.. 2023. 10. 13.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 1929-2007)는 포스트모던 철학에 대한 독특한 공헌과 현대 문화에 대한 비판으로 유명한 프랑스 철학자이자 사회 이론가였습니다. 그의 작업은 철학, 사회학, 미디어 연구를 포함한 광범위한 분야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시뮬라크르와 시뮬레이션: 보드리야르는 ‘시뮬라크르’와 ‘시뮬레이션’이라는 개념으로 가장 유명합니다. 그는 현대 사회에서는 현실과 시뮬레이션의 구분이 모호해졌다고 주장합니다. 시뮬라크르는 원본 지시 대상이 없는 현실의 복사본 또는 시뮬레이션입니다. 보드리야르는 현대가 시뮬레이션이 현실을 대체하는 초현실의 세계에 살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초현실: 보드리야르의 초현실성 개념은 미디어가 포화되고 소비자가 주도하는 사회에서 이미지, 기호, 상징이 .. 2023. 10. 13. 리오타르의 ‘말할 수 없는 것’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Jean-François Lyotard, 1924-1998)는 포스트모던 철학에 이바지한 것으로 유명한 프랑스의 저명한 철학자였습니다. 말할 수 없는 것‘이라는 개념에 대한 직관은 그의 작품의 중심 주제입니다. 특히 리오타르는 1979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포스트모던 조건』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작품에서 그는 진보, 이성, 해방 등 계몽주의의 메타서사를 비판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메타서사는 현실에 대한 보편적이고 총체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웅장하고 포괄적인 이야기 또는 이데올로기입니다. 리오타르는 메타서사가 현대 사회에서 신뢰성을 잃었고 그 이야기의 보편적 진리에 대한 믿음은 이제 유지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대신 그는 영역별 내러티브의 가치와 언어 게임의 다양성을 강.. 2023. 10. 13. 레비나스의 타자 에마뉘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 1906-1995)는 리투아니아-유대계 출신의 저명한 프랑스 철학자로 ‘타자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 독특한 철학으로 유명합니다. 레비나스의 작품은 현대 철학, 윤리학, 실존주의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제일 철학으로서의 윤리 레비나스는 윤리학이 제일 철학이라는 주장으로 유명합니다. 형이상학이나 인식론을 우선시하는 전통적인 철학 체계와 달리 레비나스는 우리의 일차적인 철학적 과제가 타자에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윤리를 철학의 기초로 봅니다. 대면 만남: 레비나스의 철학은 진정한 인간의 만남은 타인과 대면 관계에서 발생한다는 전제로부터 시작합니다. 타자와의 만남은 자아의식을 무너뜨리고 윤리적 책임감을 느끼게 하는 근원적인 경험입니다. 무한 책임: 레비나스는.. 2023. 10. 12. 들뢰즈의 차이 질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는 형이상학, 윤리학, 미학, 사회 이론을 포함한 다양한 철학 분야에 혁신적이고 영향력 있는 공헌으로 알려진 현대 프랑스 철학자입니다. 들뢰즈 철학의 중심 주제는 ‘차이’라는 개념입니다. 기본 개념으로서의 차이 들뢰즈의 철학은 동일성이나 유사성이 아니라 ‘차이’가 근본이라는 생각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그는 동일성을 우선시하는 전통적인 서구 형이상학에 도전합니다. 들뢰즈에게 차이는 어떤 것이 존재하는 과정이자 생성의 기반입니다. 생성철학: 들뢰즈는 존재보다는 생성을 강조합니다. 생성은 개체가 끊임없는 변화, 변형 및 차별화 상태에 있는 역동적인 과정입니다. 변화는 차이와 창의성에 의해 주도됩니다. 리좀적 사고: 들뢰즈와 그의 동료 펠릭스 가타리(F.. 2023. 10. 12. 데리다의 해체 자끄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2004)는 철학, 문학, 언어학, 문화 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심오한 영향을 미친 현대 프랑스 철학을 대표하는 사상가입니다. 새로운 철학적 접근 방식인 ‘해체’ 개념으로 명성을 얻었습니다. 철학적 방법으로서의 해체 해체는 데리다가 페르디낭 드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와 마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와 같은 구조주의 사상가들의 작업에 대응하여 개발한 복잡하고 다면적인 방법입니다. 근본적인 가정과 모순을 밝히기 위해 텍스트, 개념 및 사고 체계를 면밀히 분석하는 사고 유형입니다. 이항적 대립에 대한 비판: 해체는 선/악, 존재/부재, 말/글쓰기와 같은 전통적인 이항대립의 견고함에 도전합니다. 데리다는 이러한 이원.. 2023. 10. 12. 퍼트남의 내재적 실재론 힐러리 퍼트남(Hilary Putnam, 1926-2016)은 언어철학, 정신철학, 인식론, 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미국의 영향력 있는 철학자입니다. ‘내재적 실재론’이라고 불리는 퍼트남의 철학은 진실, 의미, 현실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다루는 복잡하고 진화하는 관점입니다. 퍼트남이 주장한 내재적 실재론은 극단적인 형이상학적 현실주의와 회의론적 반현실주의 사이에서 미묘한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반형이상학적 실재론 퍼트남의 내재적 실재론은 우리가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정신과 독립적인 실재를 거부합니다. 그는 우리의 개념 체계와 언어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객관적인 현실이 있다고 가정하는 형이상학적 실재론을 비판했습니다. 사실과 가치의 모호성: 퍼트남의 내재적 실재론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사실.. 2023. 10. 12. 콰인의 번역 불확정성 콰인(Willard Van Orman Quine, 1908-2000)은 인식론, 존재론, 언어 철학 분야의 연구로 유명한 미국의 영향력 있는 철학자였습니다. 자연주의와 경험주의를 강조한 그의 철학은 다양한 분야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번역 불확정성에 초점을 맞춰 콰인의 철학을 살펴보겠습니다. 존재론적 상대성 콰인의 언어 철학은 존재론으로 확장되어 존재론적 상대성이라는 개념을 제안했습니다. 그는 존재론적 범주의 선택과 우리가 세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이 우리의 언어적, 문화적 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습니다. 다양한 언어와 생각의 틀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현실을 분할할 수 있습니다. 번역 불확정성: 번역 불확정성은 콰인이 주장한 언어 철학의 중심 개념으로,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 2023. 10. 11. 듀이의 실용주의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는 실용주의 철학으로 잘 알려진 미국의 저명한 철학자, 심리학자, 교육 개혁가로 교육, 윤리, 정치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실용주의를 키워드로 듀이의 철학을 살펴보겠습니다. 실용주의 철학 도구적 실용주의: 종종 도구적 실용주의라고 불리는 듀이의 실용주의는 철학적 탐구의 실용적이고 도구적인 성격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관념과 개념의 가치는 실제 문제를 해결하고 인간의 행복을 증진하는 데 있어서 그 유용성에 따라 판단되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실험 철학: 듀이는 철학에 대한 전통적인 형이상학적, 이원론적 접근 방식을 거부하고 그 대신 실험적이고 과학적인 관점을 받아들였습니다. 그는 철학을 경험적 관찰에 기초하고 구체적인 인간 문제의 해결을.. 2023. 10. 8. 제임스의 믿음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 1842-1910)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미국의 저명한 철학자이자 심리학자였습니다. 그의 철학은 믿음과 행동의 실질적 결과를 중시하는 실용주의와 관련이 있습니다. 믿음은 제임스의 철학적 사고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의 사상은 미래 세대에 심오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실용주의와 믿고자 하는 의지 제임스 철학의 핵심에는 믿음의 의미와 진실이 그 실천적 결과에 따라 측정되어야 한다는 실용주의 사상이 있습니다. 제임스는 ‘믿고자 하는 의지’를 주장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증거가 불충분하거나 결론이 나지 않는 경우, 그 믿음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한, 무언가를 믿기로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심지어 필요하다는 이론입니다.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제임스는 그의.. 2023. 10. 8. 무어의 상식 조지 에드워드 무어(G.E. Moore 1873 – 1958)는 1873년에 태어난 영국의 철학자이자 20세기 초 분석 철학의 저명한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윤리학, 인식론, 언어 철학에 대한 공헌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무어의 가장 주목할만한 작품 중 하나는 상식 개념에 기초하여 윤리 이론을 발전시킨 『윤리 원리』입니다. 윤리 상식 무어의 윤리 철학은 상식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그는 기본적인 도덕 원칙이 일상적인 언어와 직관을 통해 파악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옳고 그름에 대한 우리의 상식적인 직관에 호소함으로써 객관적인 도덕적 사실의 존재를 옹호한 것입니다. 비자연주의적 현실주의: 무어의 윤리적 틀은 비자연주의입니다. 즉, 그는 선함과 같은 도덕적 속성이 자연적 속성으로 환원될 수 .. 2023. 10. 8. 벤담의 물질적 행복 철학자이자 법률 이론가인 제레미 벤담(Jeremy Bentham 1748 - 1832)은 전반적인 행복이나 즐거움을 극대화하고 고통이나 고통을 최소화하는 행동이 도덕적으로 옳다고 주장하는 도덕 철학인 공리주의를 공식화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윤리의 기초로서 공리의 원리를 도입했습니다. 벤담은 평생 공리주의 원칙에 기초한 다양한 사회 및 법적 개혁을 옹호했습니다. 그는 고통을 줄이고 경제적 번영을 촉진하며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는 정책을 주장했습니다. 공리주의와 물질적 행복 벤담의 윤리적 틀은 공리의 원칙에 기초하고 있는데, 이는 전반적인 행복이나 즐거움을 최대화하고 고통이나 고통을 최소화하는 행위가 도덕적으로 옳다고 전제합니다. 벤담의 견해에 따르면 물질적 행복은 이러한 전반적인 행복의.. 2023. 10. 8. 밀의 정신적 행복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 1806-1873)은 영국의 철학자, 경제학자, 정치 이론가, 사회 개혁가로서 다양한 분야에 지대한 공헌을 했습니다. 밀은 도덕 철학, 특히 공리주의에 관한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혁신적인 작품인 『공리주의』(1863)에서 그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증진하는 행동이 도덕적으로 옳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지적, 정서적 행복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높은 즐거움과 낮은 즐거움의 구별을 시도했습니다. 공리주의와 즐거움 밀의 도덕 철학은 공리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 이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증진하는 행동이 도덕적 기준에 부합한다는 이론입니다. 에피쿠로스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이 이론의 핵심은 궁극적인 선으로서의 즐거움입니다. 물론 여.. 2023. 10. 8. 흄의 회의(Skepticism)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1776)은 스코틀랜드의 철학자이자 계몽주의 시대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의 철학적 사고는 인식론, 형이상학, 윤리학, 종교철학 등 광범위한 주제에 걸쳐 있었습니다. 회의주의로 직결되는 흄의 철학적 사고는 전체 철학 체계의 중심부를 점하고 있으며, 철학사에 깊은 발자취를 남겼습니다. 그의 회의주의는 현대 철학 논쟁에서도 여전히 그의 이름을 소환하도록 이끄는 원동력입니다. 회의주의 흄은 존 로크(John Locke)와 조지 버클리(George Berkeley)의 전통을 따르는 경험주의자였습니다. 그는 모든 지식은 감각적 경험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우리의 모든 지식은 경험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우리의 모든 인식은 경험에서 파생된.. 2023. 10. 6. 버클리의 절대 지각 조지 버클리(George Berkeley, 1685-1753)는 아일랜드 철학자이자 근대 초기 철학의 저명한 인물이었습니다. 그의 철학적 사상은 주관적 관념론 또는 비물질주의로 알려진 관념론 형태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버클리의 철학은 그 시대의 지배적인 견해, 특히 존 로크(John Locke)와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 등과 같은 철학자들의 물질주의와 회의주의에 도전한 결과입니다. 특히 그의 절대 지각 개념은 관념론의 중심이며 철학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절대 지각에 대한 버클리의 생각과 그것이 후대에 미친 사상적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버클리의 절대 지각 비물질주의와 관념론: 버클리는 물질주의를 거부하고 관념론을 발전시킨 것으로 유명합니다. 버클리의 중심 논제는 현실이 근본적.. 2023. 10. 6.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