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사회학 언플러그드: 개념 파괴

마르쿠제의 이데올로기

by 지렛대 2023. 10. 20.
728x90
반응형

허버트 마르쿠제(Herbert Marcuse, 1898-1979)는 독일계 미국인 철학자, 사회학자, 정치 이론가로 프랑크푸르트 학파와의 연관성과 이념에 대한 비판적 분석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마르쿠제의 사회학은 비판 이론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으며 사회, 문화, 사회 변화를 형성하는 이데올로기의 역할을 분석합니다. 이 포스팅은 이데올로기에 초점을 맞춰 마르쿠제의 사회학을 재구성해 보겠습니다.

 

Herbert Marcuse, 1898-1979


  • 비판 이론: 마르쿠제는 20세기 초에 시작된 프랑크푸르트 비판 이론 학파의 저명한 인물이었습니다. 비판 이론은 특히 이데올로기에 초점을 맞춰 사회의 권력과 지배의 숨겨진 구조와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비판하려고 합니다.
  • 이데올로기와 잘못된 의식: 마르쿠제의 사회학은 이데올로기에 깊은 관심을 두고 있었는데, 이를 지배 계급의 이익에 봉사하고 현 상태를 유지하는 일련의 사상, 신념, 가치로 보았습니다. 그는 이데올로기가 대중 사이에 ‘거짓 의식’을 만들어 진정한 사회적, 경제적 이익을 인식하지 못하게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1차원적 사회: 그의 영향력 있는 작품 『One-Dimensional Man』(1964)에서 마르쿠제는 선진 산업 사회가 비판적 사고와 반대 의견이 억압되는 순응주의적이고 소비자 중심적인 문화를 만들어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개인은 기존 권력 구조를 유지하는 생산 및 소비 시스템에 통합됩니다.
  • 억압적 관용: 마르쿠제는 ‘억압적 관용’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는데, 여기서 그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관용과 표현의 자유가 드러나면 더 깊은 형태의 억압이 가려진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진정으로 해방적인 사회를 위해서는 억압적인 이데올로기를 억압하고 반대 목소리를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소비자 문화와 상품 페티시즘: 마르쿠제는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는 데 있어 소비문화의 역할을 분석했습니다. 그는 소비주의가 상품 소비를 통해 행복과 성취감을 찾을 수 있다는 생각을 조장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물질적 대상에 신비한 특성을 부여하는 상품 페티시즘을 부정적 결과로 거론하기도 합니다.
  • 기술 및 제어: 마르쿠제는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그는 인간의 자유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기술이 자본주의적 이익을 위해 개인을 통제하고 조종하는 데 활용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사회적 순응을 유지하고 비판적 사고 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술이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 미적 차원: 마르쿠제는 예술과 미학 분야에서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를 전복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분석했습니다. 그는 예술과 문화가 비판적 성찰과 상상의 공간을 제공하고 잠재적으로 일차원적인 사회에 도전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 사회 변화와 해방: 마르쿠제는 기존 이데올로기와 소비 문화의 제약을 비판하면서도 사회 변화와 해방의 가능성에 전념했습니다. 그는 허위의식에서 벗어나 더 정의롭고 공평한 사회를 구상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았습니다.

마르쿠제의 사회학은 비판 이론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으며 현대 사회를 형성하는 이데올로기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는 선진 산업 사회의 순응주의적이고 소비 중심적인 문화를 비판했으며, 억압적인 이데올로기와 사회 변화 및 해방의 잠재력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강조했습니다. 그의 연구는 사회학, 철학, 정치 이론 분야, 특히 이데올로기, 권력, 사회 변혁에 대한 논의에서 여전히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교육 > 사회학 언플러그드: 개념 파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프만의 자기표현  (0) 2023.10.24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0) 2023.10.23
밀스의 사회학적 상상력  (0) 2023.10.20
파슨스의 시스템  (1) 2023.10.19
미드의 일반화된 타자  (0) 2023.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