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조지 허버트 미드(George Herbert Mead, 1863-1931)는 미국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로, 사회학의 기본 이론인 상징적 상호작용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습니다. 미드의 상징적 상호작용의 중심에는 ‘일반화된 타자’ 개념이 있습니다. 미드의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일반화된 타자의 관점을 내면화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관념을 개발하고 사회 내에서 자신의 역할을 이해한다는 개인 이론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일반화된 타자를 중심으로 미드의 사회학을 재구성한 것입니다.
상징적 상호작용론
미드의 사회학은 인간의 행동이 상징에 부여하는 의미에 의해 형성되며 이 의미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되고 수정된다는 상징적 상호작용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 일반화된 타자: 일반화된 타자는 미드의 연구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일반화된 타자는 사회의 집단적 관점과 특정 사회 집단의 공유된 기대를 의미합니다. 개인은 자신의 행동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점으로 사회 가치, 규범 및 태도를 내면화합니다. 일반화된 타자는 사회화 과정과 개인의 자아개념 및 사회 정체성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자아와 사회화: 미드의 자아 이론은 역동적이고 발달적인 개념입니다. 미드에게 자아는 선천적으로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화 과정을 통해 구성되는 것입니다. 자아는 주격인 ‘나’(I)와 목적격인 ‘나’(me)라는 두 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나(I): 주격으로서의 나(I)는 자아의 즉흥적이고 충동적인 측면을 나타냅니다. 행동을 시작하고 상황에 반응하는 것은 자아의 일부입니다.
- 나(me): 목적격으로서의 나(me)는 사회화되고 성찰된 자아를 의미합니다. 나(me)는 사회적 규범, 가치, 기대를 내면화한 자아의 일부로서 다른 사람들이 개인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와 관련이 있습니다.
- 역할 수행: 미드는 사회화의 근본적인 과정으로서 역할 수용을 강조했습니다. 역할 수행에는 타자의 상황을 가정하여 그들이 개인을 어떻게 보는지 이해하는 것입니다. 개인은 역할 수행을 통해 사회 집단의 집단적 기대를 고려하면서 일반화된 타인을 고려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 도덕적, 규범적 발달: 일반화된 타자는 도덕성 및 사회적 규범의 발달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사회적 상호작용과 역할 수행을 통해 개인은 사회의 도덕적 가치와 사회적 규범을 내면화합니다. 이 내면화 과정이 개인의 행동과 의사결정의 원동력입니다.
- 사회 통제: 미드의 사회학은 일반화된 타자가 사회적 통제의 형태로 어떻게 기능하는지 분석합니다. 개인이 사회적 규범을 따르고 사회 집단적 관점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일반화된 타인의 기대와 반응입니다.
- 사회적 안정과 변화: 일반화된 타자는 사회의 안정과 변화를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회적 규범과 가치가 변함에 따라 일반화된 타자도 변화하여 자신과 사회 내에서 역할을 인식하는 개인적 방식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화된 타자의 변화는 사회적 행동과 사회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상호작용 및 언어: 언어는 미드의 사회학에서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는 의사소통을 촉진하고 공유된 상징과 의미의 발전에 기여합니다. 언어를 통해 개인은 일반화된 타자와 사회적 상호작용 및 협상에 참여하여 사회적 현실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일반화된 타자에 초점을 맞춘 미드의 사회학은 인간 행동의 역동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성격과 자기 개념 형성을 강조합니다. 일반화된 타자는 개인이 자신의 행동을 평가하고 행동을 사회적 규범 및 기대에 맞추는 기준점 역할을 하며, 사회화 및 도덕적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관점은 사회학 내의 사회적 행동, 자아, 사회적 변화 연구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728x90
반응형
'교육 > 사회학 언플러그드: 개념 파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스의 사회학적 상상력 (0) | 2023.10.20 |
---|---|
파슨스의 시스템 (1) | 2023.10.19 |
마르크스의 계급투쟁 (1) | 2023.10.16 |
베버의 사회적 행동 (0) | 2023.10.15 |
뒤르켐의 사회통합 (0) | 2023.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