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어빙 고프만(Erving Goffman, 1922-1982)은 캐나다계 미국인 사회학자로 상징적 상호작용과 일상생활에서의 자아 표현에 관한 획기적인 연구로 유명합니다. 그의 사회학은 개인을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자기표현을 신중하게 관리하는 배우로 보는 극작 모델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포스팅은 자기표현에 초점을 맞춰 고프만의 사회학을 재구성할 것입니다.
자기표현
고프만의 사회학에는 ‘자기표현’이 중심 개념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그는 개인이 무대 위의 배우와 마찬가지로 이미지 관리에 참여한다고 주장합니다. 사람들은 전략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을 표현하고 행동, 외모, 표정을 조정하여 특정한 인상을 남긴다는 것입니다.
- 극작 모델: 고프만의 극작 모델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연극 공연에 비유합니다. 그는 개인이 수행하는 두 가지 주요 역할을 구별했습니다.
- 프론트 스테이지(Front Stage): 공연 중 개인이 관객과 함께 있는 부분입니다. 그들은 특정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신중하게 행동과 외모를 구성합니다.
- 백스테이지(Back Stage): 백스테이지에서는 관객의 시선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고 자신의 모습을 드러낼 수 있는 곳입니다. 이곳은 프론트 스테이지 공연을 준비하는 곳입니다.
- 인상 관리: 인상 관리에는 타인이 자신을 인식하는 방식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과 기술이 포함됩니다. 여기에는 감정 조절, 소품(의류 및 액세서리 등) 사용, 원하는 인상을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언어적, 비언어적 신호 사용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얼굴과 얼굴 관리: 고프만은 개인의 공적 자아상이자 사회적 정체성인 ‘얼굴’이라는 개념을 도입합니다. ‘얼굴 관리’에는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위협을 받을 때 얼굴을 유지, 보호 또는 복구하기 위해 취하는 조치가 포함됩니다. 공손한 전략, 유머 또는 사과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 낙인: 낙인에 대한 고프만의 연구는 낙인이 찍힌 개인이 사회적 편견에 대처하기 위해 자기표현을 어떻게 관리하는지 분석합니다. 그는 낙인이 찍힌 개인이 낙인 이전으로 돌아가기 위해 다양한 인상 관리에 참여하는 방법과 기술을 강조했습니다.
- 역할 거리: 역할 거리란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는 역할로부터 자신을 분리시키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고프만은 개인이 때때로 사회가 부과하는 역할과 기대로부터 거리를 두기를 원한다는 점을 인식했습니다.
- 상호작용 의식: 고프만의 연구는 확립된 규범과 패턴에 따라 구조화된 사회적 상호 작용인 상호작용 의식의 개념을 탐구합니다. 그는 이러한 의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상호작용을 어떻게 지배하고 자기표현을 형성하는지 조사했습니다.
- 프레임 및 프레임 분석: 고프만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프레임’이라는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프레임은 개인의 사회적 상황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데 사용되는 정신적 구조 또는 관점입니다. 프레임 분석에는 개인이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프레임 사이를 전환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 주체 및 제약: 개인은 인상 관리에 참여하는 동안 사회적 규범과 기대의 제약 속에서 그러한 행동을 취합니다. 고프만은 개인이 자신을 표현하고 사회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사회적 제약 내에서 주체를 어떻게 행사하는지 분석합니다.
자기표현에 초점을 맞춘 고프만의 사회학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수행적 성격을 강조합니다. 그는 개인을 무대 위의 배우로 보고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서 원하는 인상을 전달하기 위해 자기표현을 주의 깊게 관리하도록 장려하는 극작법 모델을 도입했습니다. 그의 연구는 상징적 상호작용, 사회적 역할, 사회적 행동의 복잡성 연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728x90
반응형
'교육 > 사회학 언플러그드: 개념 파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벡의 위험 사회 (0) | 2023.11.02 |
---|---|
기든스의 구조이론 (1) | 2023.11.01 |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0) | 2023.10.23 |
마르쿠제의 이데올로기 (0) | 2023.10.20 |
밀스의 사회학적 상상력 (0) | 2023.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