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대의 초상/우울증과의 동행

우울증에 대한 정신역동적, 정신분석학적 접근

by 지렛대 2023. 9. 19.
728x90
반응형

우울증에 대한 정신 역학적, 정신분석학적 접근 방식은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가 개발한 이론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후 정신 분석 사상가들에 의해 발전되었다. 이 접근 방식은 우울증의 발발과 전개에 기여하는 무의식적 과정, 내적 갈등, 생애 초기 경험 등을 분석한다.

 

Sigmund Freud

 

 

주요 개념

 

무의식적 과정: 프로이트는 인간 행동과 정서적 경험의 많은 측면이 무의식적 과정에 의해 지배된다고 믿는다. 우울증에서는 무의식적인 갈등과 해결되지 않은 감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방어 기체: 프로이트는 고통스러운 생각과 감정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무의식적인 전략인 방어 메커니즘의 개념을 도입했다. 억압과 부정과 같은 일부 방어 메커니즘이 우울증을 유발한다.

생애 초기 경험: 정신 역동 및 정신 분석 이론가들은 정서 발달 형성에 있어 생애 초기 경험, 특히 애착 관계와 관련된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어린 시절 겪은 불행한 경험은 이후 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우울증의 원인

정신 역학적 및 정신분석적 접근에 따르면, 우울증 발병에 이바지하는 몇 가지 핵심 정서적 요소는 다음과 같다.

 

상실과 슬픔: 우울증은 해결되지 않은 슬픔이나 상실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종종 초기의 이별 또는 버림의 경험에서 비롯된다. 무의식적 갈등: 개인의 욕구와 사회 요구 또는 초자아(내면화된 도덕 기준) 사이의 무의식적 갈등은 우울증에서 흔히 나타나는 죄책감과 자기비판으로 이어진다.

내부로 향하는 분노: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을 포함한 정신 역동 이론가들은 우울증을 강렬한 분노와 자신에 대한 공격성의 방향이 바뀌면서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낮은 자존감: 부정적인 자아 개념과 낮은 자존감은 초기의 경멸이나 방치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러한 감정이 우울증의 원인이 된다.

퇴행: 스트레스나 감정적 혼란이 있을 때 적응력이 떨어지는 초기 발달 단계로 퇴행할 수 있으며, 이 퇴행이 우울증으로 나타난다. 심리치료 및 치료 우울증에 대한 정신역동적 및 정신분석적 치료법은 우울증에 기여하는 무의식적 갈등과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치료법은 장기적으로 진행되며, 내담자의 과거와 현재 경험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전제로 한다.

자유 연상: 내담자는 아무런 검열 없이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연관 짓도록 고무된다. 이 과정을 통해 내면의 무의식적 덩어리와 사고 패턴을 밝혀낼 수 있다.

꿈의 분석: 꿈은 무의식을 들여다보는 창으로 간주된다. 꿈을 분석하면 해결되지 않은 갈등과 감정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전이: 전이는 내담자가 무의식적으로 과거 관계의 감정과 태도를 상담사에게 전달하면서 발생한다. 전이를 분석하면 관련된 문제와 해결되지 않은 문제의 패턴을 밝혀낼 수 있다.

해석: 상담사는 내담자의 생각, 감정, 행동을 해석하여 스스로 무의식적인 갈등과 정서적 과정에 대한 실마리를 얻도록 돕는다.

 


 

마무리

우울증에 대한 정신 역학적, 정신분석학적 접근 방식은 이 정신 상태에 대해 깊고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이러한 접근법이 우울증을 겪는 모든 사람을 위한 일차적 치료 선택은 아닐 수 있지만, 우울증의 근본 원인에 대한 특별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자기 인식과 무의식적 갈등의 해결을 통해 치유의 길을 모색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