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서양 철학 언플러그드: 개념 파괴

루소의 자연

by 지렛대 2023. 10. 3.
728x90
반응형

루소(Jean-Jacques Rousseau)의 자연주의는 그의 철학 사상의 중요한 측면이며, 특히 그의 작품 <인간 불평등의 기원과 기초에 관한 이론>(1755)과 <에밀 또는 교육에 관한>(1762)에 표현되어 있습니다. 루소의 자연주의는 당시의 지배적인 견해에 도전하고 인간 본성, 사회, 교육에 대한 그의 생각의 토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Jean-Jacques Rousseau (1712&nbsp; - 1778)


 

자연주의의 기본 구조

 

  • 자연 상태: 루소는 시민사회가 형성되기 이전에 인간이 존재했던 가상적 조건인 ‘자연상태’를 전제합니다. 이 상태에서 인간은 자유롭고 평등하며 자급자족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사회 제도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 타고난 선함: 인간의 본성은 원래 사악하다는 일반적인 견해와는 달리, 루소는 자연 상태에 있는 인간의 타고난 선함을 믿습니다. 그는 개인을 타락시키고 도덕적, 사회적 불평등을 초래하는 것은 사회와 문명이라고 강조합니다.
  • 자연스러운 연민: 루소는 자연 상태의 인간은 서로에 대한 자연스러운 연민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들은 필요할 때 서로 돕고 지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공감은 초기 사회적 유대의 기초를 형성합니다.
  • 문명의 부정적인 영향: 루소는 인간 본성에 미치는 문명의 영향에 대해 비판적입니다. 그는 사회가 복잡해질수록 사유 재산이 확립되고, 이는 불평등과 갈등을 낳는다고 주장합니다. 불평등은 사유 재산의 도입과 계층 구조의 출현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부자연스럽고 인간의 행복에 해롭다고 주장합니다.
  • 자연에 따른 교육: 루소는 <에밀, 혹은 교육에 대하여>에서 자연주의에 기초한 교육 철학을 개괄적으로 설명합니다. 그는 인위적인 규범과 관습을 강요하기보다는 아이의 자연스러운 발달과 본능을 존중하는 교육을 옹호합니다. 루소는 불평등과 부패에 대한 해결책으로 사회 구조의 재평가와 인간 본성에 부합하는 자연으로의 복귀라고 강조합니다.
  • 사회계약: 루소의 '사회계약' 개념은 그의 자연주의를 반영합니다. 정부의 적법한 권위는 피통치자의 동의에 기초해야 하며, 사회 질서는 국민의 집단적 욕구를 대변하는 일반 의지와 일치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영향력과 유산

루소의 자연주의는 계몽주의 사상과 이후의 정치철학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사상은 개인의 자유와 사회 정의에 관한 현대 민주주의 이론과 사상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하지만 루소의 자연주의는 감탄과 함께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자연적 인간 성향의 중요성을 인정하지만, 자연 상태를 이상화하고 비실용적인 해결책을 제안했다는 점은 비판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교육 > 서양 철학 언플러그드: 개념 파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니체의 권력 의지  (0) 2023.10.04
쇼펜하우어의 맹목 의지  (2) 2023.10.04
헤겔의 절대정신  (1) 2023.10.03
셸링의 동일자  (0) 2023.10.03
피히테의 ‘나’의 철학  (0) 2023.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