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서양 철학 언플러그드: 개념 파괴

쇼펜하우어의 맹목 의지

지렛대 2023. 10. 4. 17:07
728x90
반응형

아르투르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 1788 - 1860)의 의지 철학은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1818)에 등장하는 철학 체계의 중심 개념입니다. 쇼펜하우어의 의지 철학은 현실과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본질에 대한 독특한 분석입니다. 그는 무의식적이고 비합리적인 힘인 맹목적 의지가 고통, 욕망, 인간 조건의 근본적인 원천이라고 주장합니다.

 

Arthur Schopenhauer, 1788 - 1860


 

주요 논점

 

  • 근본적인 현실로서의 의지: 쇼펜하우어는 의지가 우주의 근본이고 본질적인 현실이라고 전제합니다. 그는 이성에 대한 철학적 전통과 대립하면서 의지가 이성보다 더 원초적이고 근본적이라고 주장합니다.
  • 무의식적이고 비합리적인 의지: 쇼펜하우어의 의지는 의식적이거나 합리적인 실체가 아닙니다. 그것은 생명체는 물론 무생물까지 움직이는 무의식적이고 비합리적이며 맹목적인 힘을 의미합니다. 의지는 인간의 통제나 인식을 넘어서 작동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보편적이고 모든 곳에 퍼져 있음: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의지는 개인의 의지에 국한되지 않고 보편적이고 모든 곳에 퍼져 있습니다. 그것은 가장 작은 자연 과정에서부터 개인의 행동과 역사 과정에 이르기까지 존재의 모든 측면에서 등장합니다.
  • 개인의 의지와 삶의 의지: 쇼펜하우어는 개인의 의지와 삶을 향한 포괄적인 의지를 구별합니다. 개인의 의지가 더 크고 보편적인 의지의 표현입니다. 인간과 동물을 포함한 각 개체는 자신의 특별한 의지에 따라 움직입니다.
  • 고통과 욕망: 쇼펜하우어의 의지 철학은 인간의 고통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의지는 결코 충족될 수 없는 욕망과 갈망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고통의 근원이 됩니다.
  • 금욕주의와 의지의 거부: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의지, 즉 쇼펜하우어가 금욕주의와 연관시키는 상태를 초월하는 것입니다. 의지와 욕망을 거부함으로써 고통으로부터 평온함과 해방의 상태를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 탈출 수단으로서의 예술: 쇼펜하우어는 예술을 의지의 지배에서 일시적으로 벗어나는 독특한 방법으로 간주합니다. 예술에 대한 묵상을 통해 개인적 의지를 초월하고 미적 행복감 또는 숭고함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철학적 유산

쇼펜하우어의 의지 철학은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와 쇠렌 키에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와 같은 실존주의 사상가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니체는 인간 본성의 비합리적이고 열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쇼펜하우어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쇼펜하우어의 의지 철학은 그의 생애 동안 널리 인정받지 못했지만 현대에 이르러 두각을 드러냅니다. 의지, 고통, 현실의 본질에 대한 그의 생각은 20세기 이후 인류의 고통과 맞물리며 토론의 대상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