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렛대 2023. 10. 23. 16:42
728x90
반응형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 1930-2002)는 사회학, 특히 문화, 사회 계층화, 아비투스 개념 분야에서 중요한 공헌을 한 저명한 프랑스 사회학자였습니다. 부르디외의 사회학은 개인의 행동, 취향, 사회적 지위를 형성하는 아비투스(habitus)의 역할을 강조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 포스팅은 아비투스에 초점을 맞춰 부르디외의 사회학을 재구성할 것입니다.

 

Pierre Bourdieu, 1930-2002


  • 아비투스: 아비투스(Habitus)는 부르디외 사회학의 핵심 개념입니다. 아비투스는 사회적 경험과 상호작용을 통해 발전하는 개인의 성향, 습관, 기대의 체계를 말합니다. 아비투스는 개인이 사회 세계를 인식하고 탐색하는 정신적 틀 또는 필터 역할을 합니다. 이는 개인의 가치관, 신념, 취향, 관행을 통합하고 사회적 행동을 형성하는 데 근본적인 역할을 합니다.
  • 사회적 재생산: 부르디외의 연구는 사회적 불평등이 여러 세대에 걸쳐 영속되는 과정인 사회적 재생산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그는 아비투스가 이 과정의 핵심 메커니즘이라고 주장합니다. 다양한 사회 계층의 개인은 독특한 삶의 경험으로 인해 뚜렷한 아비투스를 형성하고, 이 아비투스는 후대에게 전달됩니다.
  • 장 이론: 부르디외는 개인과 기관이 자원과 권력을 놓고 경쟁하는 뚜렷한 사회적 무대 또는 맥락을 설명하기 위해 ‘장’이라는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각 장에는 특정 규칙, 계층과 아비투스가 있습니다. 어떤 분야에서 개인의 아비투스는 해당 분야의 규칙과 일치하여 해당 분야 내에서 전략과 위치를 형성합니다.
  • 문화 자본: 부르디외는 개인이 사회적 화폐의 한 형태로 획득하고 사용하는 문화적 지식과 관행을 설명하기 위해 ‘문화 자본’이라는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문화 자본은 예술, 문학, 음악에 대한 지식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문화 자본의 소유는 교육과 사회적 이동성에 있어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상징적 폭력: 부르디외는 사회 계층과 권력 구조가 문화, 언어, 제도를 통해 재생산되는 미묘하고 눈에 띄지 않는 방식을 가리켜 ‘상징적 폭력’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형태의 폭력은 아비투스를 통해 수행되며 불평등을 영속시킬 수 있습니다.
  • 차별과 취향: 부르디외의 유명한 작품 『구별짓기: 취향 판단에 대한 사회적 비판』(1979)은 아비투스가 개인의 취향과 선호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합니다. 그는 문화적 소비 패턴이 사회 계층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서로 다른 계층의 습관이 독특한 취향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합니다.
  • 교육 장: 부르디외는 특히 교육 분야와 아비투스가 학문적 성공과 사회적 이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습니다. 그는 교육의 장과 일치하는 아비투스를 가진 특권적인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시스템을 장악하고 성공을 달성하는 데 유리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아비투스에 초점을 맞춘 부르디외의 사회학은 개인이 사회적 경험을 통해 개발하는 정신적 틀의 중요성과 이러한 성향이 어떻게 행동, 취향, 사회적 지위를 형성하는지 강조합니다. 그의 연구는 사회학 및 관련 분야의 문화, 사회적 불평등, 교육, 사회 변화 연구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728x90
반응형